중세시대? 식사 때 나이프와 포크는 밥 먹다가 유사시... 중세시대? 식사 때 나이프와 포크는 밥 먹다가 유사시 전트용으로 사용하기
중세시대? 식사 때 나이프와 포크는 밥 먹다가 유사시 전트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졌나요?
아뇨. 그들의 음식 문화에 맞게 만들어진 음식도구 입니다. 접시 그릇부터 전부 식생활에서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도구 입니다.
예) 동남아를 이야기 해볼까요.?
중국 젓가락 숫가락 젓가락은 둥글고 길고 끝은뭉뚝
하죠.? 이들은 곡밥문화는 있어도 국밥문화는 없어서 숫가락 의론 오로지 국물요리만 먹음 그래서 국자느낌의 숫가락임
대만 젓가락 숫가락 중국이랏 같음
일본 젓가락 숫가락 이들의 젓가락은 끝이 뾰족하며 내모난 형태죠. 회나 고기류 튀김을 찍어 먹을수 있게 2가지 기능을 합니다. 숫가락도 국물먹는 요리에만 쓰기 때문에 국자느낌의 숫가락임
한국 젓가락 숫가락 우리는 말할 필요도 없죠.?우리의 젓가락은 1자 넓적하죠.?숫가락은 밥과 국을 적당히 떠서 먹을 정도의 기피 입니다.
밥.국먹을땐 숫가락 젓가락은 반찬집을때 쓰는거죠.
양반의 식사 예절교육에도 있죠.
물론 젓가락의로 방을 먹을수도 있는데 양반은 그걸천박하다 라고 하죠.
각 나라 마다 식생활이 조금식 차이는 있어토 큰차이는 없는게 특징 이지만 우리나라는 정말 특이하게도 각나라 보다 많은게 달라요. 그중 가장큰게 음식문화이면 요리 방법인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