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합병증으로 인한 말기신부전 부모님이 동네 병원에서 피검사 후 신장 기능이 15퍼센트도 안된다는 얘기를
부모님이 동네 병원에서 피검사 후 신장 기능이 15퍼센트도 안된다는 얘기를 듣고 대학 병원 검진 예약 했는데 예약이 밀려서 다음주 초에나 갈 수 있는데 가기 전까지 음식 섭취나 주의해야할 사항 있나요? 응급으로라도 가야할까툐?
말기 신부전 상태에서 음식 섭취와 주의사항에 대해 몇 가지 권장 사항을 드리겠습니다. 당뇨 합병증으로 인한 신부전은 신장 기능이 매우 저하된 상태이므로, 섭취하는 음식과 관리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합니다.
1. 단백질 섭취 조절: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단백질이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단백질 섭취를 과도하게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의사나 영양사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단백질 양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염분(소금) 섭취 제한:
염분 섭취는 혈압 상승과 수분 저류를 유발할 수 있어 신장에 부담을 주므로, 염분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음식에 소금, 간장, 김치 등 짠 음식을 피하고, 저염식을 지향하세요.
3. 수분 섭취 조절:
수분 섭취도 신장이 손상되었을 때 중요한 부분입니다.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과도한 수분 섭취가 부종이나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수분 섭취량을 제한해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정확한 수분 섭취량은 병원에서 정확히 안내 받을 필요가 있습니다.
4. 칼륨, 인 섭취 제한:
신장 기능이 저하되면 칼륨과 인의 배설이 어려워져 혈액 내 농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칼륨이 많은 음식(예: 바나나, 토마토, 감자, 오렌지 등)과 인이 많은 음식(예: 유제품, 견과류 등)을 제한해야 할 수 있습니다.
5. 당뇨 관리:
당뇨 관리도 매우 중요합니다. 혈당 조절을 제대로 하지 않으면 신장 기능에 더 많은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혈당 수치를 체크하고 적절한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6. 기타 주의사항:
고지혈증이나 고혈압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혈압 관리와 콜레스테롤 수치 조절에도 신경 써야 합니다. 약물을 처방받았다면 약을 정확히 복용하시고,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를 관리해야 합니다.
결론:
대학병원 예약 전까지 음식 섭취는 신중하게 조절하시고, 과도한 단백질, 염분, 칼륨, 인 섭취를 피하고, 당뇨 혈당 관리에 유의해야 합니다. 가능한 한 주치의의 지시를 따르면서, 병원 예약을 기다리며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