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 s

그레닛셰어즈 2x 롱 엔비디아 데일리 etf 1. 이거 운용보수가 연 1.1%라는데 운용보수가 정확히 뭔가요? 교과서적 답변

2 2 2 2 2

그레닛셰어즈 2x 롱 엔비디아 데일리 etf 1. 이거 운용보수가 연 1.1%라는데 운용보수가 정확히 뭔가요? 교과서적 답변

1. 이거 운용보수가 연 1.1%라는데 운용보수가 정확히 뭔가요? 교과서적 답변 말고 예시 같은 거 들어서 이해 좀 시켜주세요.얼마를 넣으면 얼마를 떼간다 이런 식으로2. 그리고 운용보수 외에도 매수 혹은 매도 시 따로 나가는 수수료나 세금이 있나요?3. etf는 15.4% 세금을 떼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것도 역시 그런가요?

cont
image

1. 운용보수(Expense Ratio)란? (쉬운 예시)

운용보수란 ETF를 운영하는 회사(운용사)가 가져가는 수수료입니다.

ETF를 보유하는 동안 매년 일정 비율(%)로 자동으로 차감됩니다.

"그레닛셰어즈 2x 롱 엔비디아 데일리 ETF(NVDL)"의 운용보수는 연 1.1%

예시로 쉽게 설명하면:

  • ETF에 1,000만 원 투자하면, 1년 동안 운용보수로 1.1% = 11만 원 차감

  • ETF 가격에서 매일 조금씩(1년 동안 나눠서) 자동으로 반영

  • 즉, 따로 돈을 빼가는 게 아니라 ETF 가격에 녹아서 반영됨!

운용보수 차감 방식:

운용보수는 하루하루 나눠서 ETF 가격에 반영되므로, 매일 1.1% ÷ 365일 = 약 0.003% 정도씩 가격에 녹아서 반영됨

2. 매수/매도 시 추가로 나가는 수수료 & 세금

거래 수수료:

  • 미국 주식(ETF 포함)은 국내 증권사별로 매수/매도할 때 거래 수수료가 부과됨

  • 보통 매수 0.25% ~ 0.5% / 매도 0.25% ~ 0.5% (증권사마다 다름)

  • 예를 들어 100만 원어치 매수하면 2,500원~5,000원 수수료 발생

환전 수수료:

  • 미국 ETF를 거래할 때 원화를 달러로 바꿔야 하므로 환전 수수료 발생

  • 보통 1달러당 5~10원 차이(스프레드)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 매도 수수료:

  • 미국 주식을 매도할 때 **0.00229%**의 추가 수수료 발생 (미국 규정)

  • 예를 들어 1,000만 원 매도하면 약 229원 수수료 발생

3. ETF 매매 시 세금 (15.4% 세금 적용?)

미국 ETF는 매매 차익에 대해 세금이 부과되지 않음!

  • 미국 주식(개별 종목)은 매도 시 양도소득세 22% (250만 원 공제 후 과세)

  • 하지만 미국 ETF는 양도세 X → 대신 배당소득세 15.4% 부과

NVDL 같은 ETF는 배당이 없기 때문에 사실상 세금이 없음!

  • 배당금이 있는 ETF라면 배당소득세 15.4% 차감 후 지급

  • 하지만 NVDL은 배당금이 없기 때문에, ETF를 사고팔아 얻은 차익에는 세금이 없음

즉, NVDL 같은 레버리지 ETF는 매매 차익에 대해 세금이 부과되지 않음!

하지만 미국 배당주 ETF(예: SPY, QQQ) 같은 경우 배당금 지급 시 15.4% 세금 차감됨.

결론: NVDL ETF 투자 시 비용 & 세금 정리

1️⃣ 운용보수: 연 1.1% → ETF 가격에 녹아서 반영됨 (따로 떼가는 거 아님)

2️⃣ 매수/매도 시 수수료: 국내 증권사 거래 수수료 + 환전 수수료 발생

3️⃣ 세금: 매매 차익에 대한 세금 없음 (배당 없으므로 15.4% 배당소득세도 해당 없음)

즉, NVDL은 사고팔 때 거래 수수료만 신경 쓰면 됨!

운용보수는 ETF 가격에 자동 반영되므로 따로 계산할 필요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