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지원금 지역화폐 모바일형 1. 지역화폐 모바일형으로 신청했는데 지역사랑카드로 같이 쓸 수 있는 거
1. 지역화폐 모바일형으로 신청했는데 지역사랑카드로 같이 쓸 수 있는 거 아닌가요? 2. 같이 쓸 수 있는 줄 알고 지역사랑카드도 발급했는데 쓸모가 없는 건가요?3. 카드형 모바일형으로 나눠지면 모바일형(QR)이 가능한 곳은 어떻게 찾나요?4. 제로페이라는 것도 있던데 그걸 설치해야하나요? 무슨 차이가 있나요?
지역화폐 "모바일형"과 "지역사랑카드(카드형)" 구분
(1) 사용 방식 차이
구분 | 모바일형 | 카드형 |
결제 수단 | QR코드 스캔 (스마트폰 앱) | IC칩 카드 (물리적 카드) |
발급 형태 | 앱 가입 후 전자지갑 생성 | 카드 수령 (동사무소/은행) |
호환성 | 별도 시스템 → 혼용 불가 | 별도 가맹점 필요 → 모바일QR 미지원 |
핵심 원칙:
(2) 카드형의 활용 가능성
사용처:
카드형 전용 가맹점 (예: 전통시장·소상공인 매장 중 IC칩 단말기 보유 업소)
모바일형 가맹점에서는 사용 불가 → QR결제 미지원 .
추가 기능:
일부 지자체는 카드형으로 대중교통 요금 결제 가능 (예: 버스·지하철) ↗ 지역별 상이.
2. 모바일형(QR) 사용처 확인 방법
(1) 공식 플랫폼 활용
1. **"지역화폐 누리집"** 접속 - 예: 서울→ **"온마을페이"** (https://eum.seoul.go.kr), 경기→ **"제로페이"** (https://zeropay.or.kr) - `가맹점 찾기` 메뉴 → 지역·업종 필터링 후 검색 2. **모바일 앱 내 지도 기능** - 앱 설치 후 `주변 가맹점` 버튼 클릭 → 실시간 위치 기반 안내 3. **카카오톡 챗봇** - 일부 지자체 제공 (예: 부산 "부산사랑페이") → `가맹점 조회` 명령 입력 . |
(2) 현장 식별 방법
스티커/현수막:
점포 입구에 "지역화폐 QR결제 가능", "제로페이 가맹점" 표시 부착
POS기 확인:
카드 단말기에 QR 스캐너 장착 여부 확인 (▼ 그림 참조)
QR단말기 예시 가로 10cm 내외 스캐너 장착
3. 제로페이(Zero Pay)와의 관계
(1) 제로페이 필수 설치 여부
모바일형 지역화폐 앱 ≠ 제로페이:
지역화폐 앱은 지자체별로 독립 개발 (예: 서울 "온마을페이", 인천 "인천e음")
제로페이는 전국 공통 플랫폼 → 지역화폐를 포함한 모든 QR결제 통합 .
활용 전략:
(2) 제로페이와 지역화폐 앱 비교
기능 | 지역화폐 앱 | 제로페이 앱 |
지역화폐 사용 | 가능 (전용 지갑) | 가능 (통합 지갑) |
가맹점 범위 | 해당 지자체 가맹점 | 전국 가맹점 |
추가 기능 | 지역 할인쿠폰·문화포인트 | 간편송금·공과금 납부 |
⚠️ 4. 지역사랑카드의 실질적 활용 방안
(1) 카드형 사용처 확보
전용 가맹점 검색:
지역화폐 공식 사이트 → 카드형 가맹점 필터 적용
예시: 전통시장·약국·다이소 (IC칩 단말기 보유 업소 위주)
대체 결제 수단으로 활용:
교통카드 기능 (수도권 일부) → 버스·지하철 요금 충전 후 사용
(2) 모바일형과 카드형 병행 전략
✓ **모바일형**: QR 지원 가맹점 (카페·편의점·프랜차이즈) → **할인율 10~20%** 적용 ✓ **카드형**: IC칩 전용 가맹점 (전통시장·소매점) → **추가 지원금 5%** 혜택 ✓ **주의**: 할인 중복 불가 → 가맹점 당 1개 방식만 선택 |
종합 안내 & 행동 요령
1. [카드 사용처] - 지역사랑카드(카드형) → **IC칩 단말기 가맹점 전용** - 모바일형 → **QR 스캔 가능 가맹점** 2. [가맹점 찾기] - 필수: **지자체별 지역화폐 사이트** 또는 **제로페이 앱** 활용 - QR 가맹점 식별: "제로페이" 로고 부착점 3. [제로페이 설치] - **필수 아님** BUT 설치 시 전국 가맹점 확대 → **추천** 4. [미사용 카드 처리] - **교통카드 기능 활성화** (해당 지역 한정) - **카드형 지원금 추가 충전** (월 1회 한도) → 소상공인 매장 활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