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 s

토종메기가있다? 토종메기가 따로 있어요?일반메기는 그럼 외래종?

2 2 2

토종메기가있다? 토종메기가 따로 있어요?일반메기는 그럼 외래종?

토종메기가 따로 있어요?일반메기는 그럼 외래종?

cont
image

✅ 1. 토종메기 (참메기, Korean catfish)

  • 학명: Silurus asotus

  • 특징:

  •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 자연적으로 서식

  • 몸 색깔이 갈색에 가까우며, 점이나 무늬가 거의 없음

  • 우리나라 전통 민물고기 중 하나로, 예로부터 민물매운탕 등에 사용됨

  • 서식지: 한반도 전역의 하천, 저수지, 논 등지에서 자연 번식

✅ 2. 외래종 메기 (빠가사리류 포함)

  • 대표적 외래종: 큰입메기(Ictalurus punctatus), 블루캣피시 등 미국산 메기

  • 들어온 시기: 1970~80년대에 양식 목적으로 도입

  • 특징:

  • 성장 속도가 빠르고 양식에 유리

  • 입이 크고 몸이 더 크며, 외형도 좀 더 회색빛

  • 문제점:

  • 토종 어종과의 경쟁, 생태계 교란 우려

  • 야생에 방류될 경우 생태계에 부정적 영향

✅ 3. 혼동하기 쉬운 종류: 빠가사리 (쏘가리랑 헷갈리는 경우도 있음)

  • 학명: Liobagrus mediadiposalis (토종 빠가사리도 있음)

  • 일부는 토종, 일부는 외래종

  • 생김새는 메기와 비슷하지만 크기가 작고 머리가 넓적함

결론

  • 토종메기는 분명히 따로 있으며, 우리 민물 생태계의 일부입니다.

  • 일반적으로 유통되는 메기나 양식 메기의 상당수는 외래종 또는 교잡종일 가능성이 큽니다.

  • 요즘 식당에서 ‘메기매운탕’에 쓰이는 건 대부분 **양식 메기(외래종)**입니다.